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라이프

[박찬일 노포열전] 소박하고 향긋한 본연의 막국수, 인제 남북면옥

희고 고운 속메밀로 반죽한 면을 순하고 시원한 국물에 말아내는 ‘평양식’ 막국수 일품

2017.02.02(Thu) 09:43:05

막국수 좋아하는 사람들 참 많다. 냉면과 차이가 뭔지 애매한 국수이기도 하다. 막(마구) 내려서 먹었다고도 하고, 막(갓) 내려서 막국수가 되었다는 말도 있다. 둘 다 맞는 것 같다. 그런데 평양냉면과 별 차이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 집, 인제의 ‘남북면옥’도 그렇게 생각한다. 그래서 평양식 막국수라는 말을 쓴다. 평양냉면이 뭔가 좀 공교하고 고급한 이미지를 풍겨왔지만, 원래는 시골에서 막 내려서 먹는 메밀국수에 다름 아니었기 때문이다.

 

냉면이든 막국수든 몇 가지 조건이 있다. 일단 메밀이 있어야 한다. 메밀은 보통 구황작물로, 다른 농사를 망쳤을 때 급히 뿌려서 먹기도 한다. 본디 늦가을에 수확한다. 생육기간이 짧아서 구황에 좋다. 급히 재배해서 곡물 수요를 충당했던 것이다. 이런 메밀은 서늘한 날씨를 좋아한다. 그래서 산간지역의 주 재배 작물이 되었다. 거친 토질에도 잘 견딘다. 다만 메밀이 가루 곡물의 대세가 되지 못한 것은 단위면적당 소출이 적기 때문이다. 그래서 토질이 나쁜 산악지형을 끼고 있는 관서지방, 강원도 지방에서 주로 길렀다.

 

남북면옥은 우연히 발견한 집이다. 아는 사람은 아는 명문 막국수집이었는데, 필자는 몰랐다. 지나가다 그 소담한 외관에 우선 감이 왔다. 게다가 60년이 넘은 노포 아닌가. 값도 엄청 싸다. 주인들도 막국수처럼 소박하고 참하다. 기쁜 일이었다.

 

남북면옥은 2대째 이어지고 있다. 1955년부터 장사를 시작해 1961년에 정식등록되었다. 겨울에만 문을 열었다가 상설 가게가 되었다.


이 집의 막국수는 메밀의 고요한 향과 구수한 맛에 집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주문이 들어오면 그제서야 반죽을 한다. 메밀 함량이 워낙 높아서 미리 반죽을 쳐두면 다 녹아내리기 때문이다. 순하고 시원한 국물에 말아내는 것이 이 집의 ‘평양식’ 막국수 맛이다. 왜 평양식이라고 부르냐면, 양념이 너무 과한 다수의 막국수와 차별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붙였다.

 

강원도의 막국수는 다 비슷해 보이지만, 제각기 특징과 내력이 있다. 개별 가게들의 스타일이 다 달라 일괄로 구별하기는 어렵지만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하는 글이 인터넷에 돈다. 우선 춘천식은 메밀 속살을 잘 빻아서 색이 희고 새콤달콤하며 참기름향이 강한 비빔면 스타일로 보면 거의 틀림없다. 영서식은 대관령을 기준으로 강원도 내륙을 말하는데 역시 희고 고운 속메밀을 쓴다. 동치미를 쓰는 남북면옥도 이에 해당한다. 영동식은 겉메밀을 섞어 써서 거친 면이 대세라는 것이다.

 

사장 권수일 씨는 선이 여리고 웃는 모습이 순한 막내아들 태가 난다. 가게 한구석에 돌아가신 창업자 부부, 그러니까 부모님의 사진이 걸려 있다. 권계복(1914년생), 김옥희(1919년생) 부부의 사진이다. 그는 2대째 이 막국수집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부모님 사진이 제법 커서, 새로 지은 이 막국수집 홀을 내려다보는 것 같다.

 

물국수와 비빔국수. 주문이 들어오면 그제서야 반죽을 한다. 메밀 함량이 워낙 높아서 미리 반죽을 쳐두면 다 녹아내리기 때문이다.


“부모님이 모두 인제 토박이시지요. 1955년부터 장사를 하셨다고 해요. 계절장사였죠.”

가게는 1961년에 정식등록되었다. 겨울에만 문을 열었다가 상설 가게가 되었다. 인근의 군인들, 공무원들이 주 손님이었다. 워낙 오지이고 서울과 멀어서 소문도 안 났다. 그러다가 1973년에 지은 한옥집 시절부터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인제군 인제읍 삼동리 343에 21번지였구, 지금이 265에 1번지입니다.” ​

 

권 씨가 한 장의 사진을 보여준다. 그가 소년 시절, 어머니 김 씨를 도와 국수틀을 누르는 장면이다. 쇠로 만든, 당시로서는 최신식(?) 기계다. 

“원래 강원도에서는 국수분틀이라고 해서, 규모 있는 집이나 마을마다 국수 뽑는 나무틀을 가지고 있었어요. 겨울에 국수 내려먹으려면 틀이 필요하니까요.”

 

1973년 1월 11일 동아일보. 중요무형문화재 17호 봉산탈춤 예능보유자 김선봉 씨가 아들과 대화를 나누는 기사가 실렸다. 김 씨의 고향 황해도의 겨울 추억을 아들과 대화하는 형식의 기사다. 한 해 전에 7·4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되며 남북통일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졌던 시기에 실린 특집이다. 김 씨의 회고담에 이채로운 부분이 있다.

“밤늦도록 윷놀이를 하다가는 밤참으로 얼음동치미에 막국수를 말아 꿩고기를 구미로 하여  먹지. 그 맛이란 참! 이불을 목에까지 뒤집어쓰고 훌훌 소리내며 먹으면 위에선 이가 시려 덜덜 떨리고 아랫도리는 방바닥이 뜨거워서 후꾼후꾼 달고-(후략).”

 

메밀국수뿐만 아니라 돼지수육도 맛있다. 잡내가 나지 않고 아주 부드럽다.


남북면옥의 주인 권 씨는 내력으로 보면 가슴 아픈 집안이다. 수몰민인 것이다. 수몰이란 뿌리와 고향을 송두리째 물속으로 수장해버리는, 그리하여 트라우마의 원인이 되는 가혹한 역사다. 1970년대 들어 댐 공사가 활발해지면서 전국에 수몰민을 양산한다. 권 씨 가족도 마찬가지였다.

“우리 집이 삼동리가 고향이 아닙니다. 인제군 남북리에서 개업해서 장사를 잘하다가 1973년에 소양강댐이 생기면서 수몰되었습니다. 보상금을 받았는데 집 지을 돈에 턱없이 부족했다고 합니다.”

 

1970년대, 정부는 산악 지역의 화전 개간을 금지하기 시작한다. 국토 녹화사업에 방해가 되고, 자연스럽게 도시로 인구를 유입시켜 산업을 발달시키는 게 당시 정부의 목표였던 것이다. 그러면서 권 씨 집안의 메밀국수도 어려움을 겪기 시작한다. 메밀 값이 오르고, 구하기도 어려워졌다. 이때 그 대안이 있었으니 바로 전분과 밀가루였다. 값싼 전분과 밀가루가 풀리면서 메밀 시장을 대체하기 시작한다. 값싼 공장 냉면과 메밀국수가 범람한 것이 바로 그 시기였다. 이제, 한반도의 남쪽은 메밀 대신 밀가루로 배고픔을 해결하기 시작했다. 바로 1970년대의 풍경이다.

 

파란만장한 막국수. 남북면옥에 가면, 그 역사가 보인다. 아름답고도 가슴 찡하다. 마치 막국수 국물처럼.


[핫클릭]

· [박찬일 노포열전] 해물전골 위에 ‘수중전골’, 부산 남포동 바다집
· [박찬일 노포열전] 만두와 호떡과 계란빵으로 육십 년, 부산 신발원
· [박찬일 노포열전] 옛 인천의 마지막 흥을 맛보다, 인천 신포동 대전집
· [박찬일 노포열전] 대한민국 족발은 여기서 시작됐다, 평안도 족발집
· [박찬일 노포열전] ‘스타’가 아니라 추억으로 먹는 냉면, 남대문 부원면옥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