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Story↑Up > 엔터

[썬데이] 홍콩 느와르의 전설 ‘영웅본색’

범접할 수 없는 아우라, 패션 코드, 주윤발의 출세작

2016.09.28(Wed) 17:55:34

“고개를 들어 봐. 네 형이다. 형은 새 삶을 살 준비가 되었는데 넌 왜 형을 용서할 용기가 없는 거야. 형제란….”
-영화 <영웅본색>(1986) 중 소마(주윤발 분)의 마지막 대사.

“자걸, 넌 잘못한 게 없다. 우린 서로 가는 길이 달랐다. 네가 가는 길이 옳은 길이야. 하지만 나도 이제 바른 길로 가고 싶구나.”
-영화 <영웅본색> 중 송자호(적룡 분)의 마지막 대사. ​

왼쪽부터 <영웅본색>, <영웅본색 2>, <영웅본색 3> 영화 포스터.


필자가 옷장에서 롱 코트를 꺼낼 때가 되면 꼭 생각나는 영화가 있다. 사나이들의 우정과 의리를 장렬한 비장미로 그려낸 오우삼 감독, 서극 제작의 <영웅본색>이 그것이다. 올해로 제작된 지 만 30년이란 세월이 흘렀음에도 해마다 가을만 되면 필자는 처음 이 영화를 봤을 때의 문화적 충격이 가시지 않고 있다.

<영웅본색> 이전까지 1980년대 초중반 홍콩 영화는 성룡(청룽), 홍금보(홍진바오), 원표(위안바오) 삼총사의 코믹 액션물이 대세였다. 이로 인해 홍콩영화는 가볍고 웃기는 그저 시간 때우기에 안성맞춤이라는 인식이 팽배했었다. 이런 가운데 혜성처럼 등장한 <영웅본색>은 단번에 홍콩영화의 트렌드를 느와르로 바꿔버렸다. 이 영화에서 비롯된 홍콩 느와르는 아시아권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와 당당히 쌍벽을 이루게 된다. 

그간 암흑가 세계를 그린 느와르 장르는 알랭 들롱, 장폴 벨몽도 등이 출연했던 프랑스 느와르, 이탈리아 출신 미국 이민자들의 마피아 암투를 그린 말런 브랜도, 알 파치노 주연의 <대부> 시리즈가 대표적이었다. 그러나 <영웅본색>은 이러한 서구의 그것과 완전히 차별화된 독특한 느와르였다. 

우선 <영웅본색>은 무협지에 등장하는 강호를 현대시점으로 옮겼다는 점이다. 이 영화에 나오는 인물들은 “의리에 살고 의리에 죽는” 전형적인 중국 무사의 모습이다. 검이나 창 대신 총을 잡았지만, 이들은 모두 수호지나 삼국지의 어떤 인물을 형상화한 것처럼 전형적으로 움직인다. 

또한 비주얼 측면에서도 <영웅본색>은 서구의 느와르들과 완벽히 차별화된다. 첫 장면에서 적룡(티룽)이 동생 자걸 역의 장국영(장궈룽)이 총에 맞는 악몽을 꾸면서 깨는데 정말 땀을 뻘뻘 흘린다. 영화 도입부에서 주윤발(저우룬파)이 위조지폐에 불을 붙여 담뱃불로 사용해 태운다. 주윤발이 아성역의 이자웅(리치헝) 패거리에 집단 폭행을 당하고 이자웅의 주먹을 얼굴에 맞으면서 코와 입에서 피가 분수처럼 솟구친다든지 주윤발이 총으로 적을 제압한 후 성냥개비를 꺼내 문다든지 하는 장면은 이 영화를 본 사람들에게 각인이 돼 있다. 

영화는 아시아 남성들의 패션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오프닝 신에서 주윤발은 185센티미터의 장신에 모델같이 길쭉길쭉한 팔다리를 가진 날씬한 체형에, 적룡(티룽)도 183센티미터의 큰 키에 무술로 단련된 딱 벌어진 체형으로 롱 코트를 입고 등장한다. 두 사람은 당시까지만 해도 동양 남성배우들은 롱 코트를 소화하기 어렵다는 선입견을 완전히 불식시켰고 아시아 남성들을 롱 코트 열풍으로 몰아넣었다. 무스를 발라 윤기가 철철 흐르는 헤어스타일, 선글라스, 성냥개비 등 패션 코드도 빼놓을 수 없다. 

 

총격 등 액션신도 매우 강렬하다. 그간 서부극이나 서구 느와르들은 권총 한 방이나 기관총 난사 등으로 적을 제압하는 식이었다. 이로 인해 관객들에겐 한 방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는데 <영웅본색>은 이를 바꿔 버린다. 주윤발은 쌍권총을 들고 한 명의 적을 향해 몇 발씩이나 총알을 퍼부어댄다. 총알이 바닥나면 자판기 커피 뽑듯 화분 등에 감춰뒀던 권총을 집어들어 또 다시 난사하는 식이다. 홍콩영화 최고의 총격 장면으로 꼽히는 풍림각 신에서 이러한 특장점들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풍림각 장면에선 훗날 대스타가 된 주성치(저우싱츠)도 엑스트라로 출연해 주윤발이 쏜 총에 맞아 죽는 역으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국내 관객들은 으레 권총이라면 보통 6발, 7발 장전되는 권총을 생각하면서 수십 발씩 총알이 발사되는 권총이 있냐고 의아해하는 반응이 적지 않았다. 영화에서 주윤발이 사용하던 권총 모델은 15발이 장전되는 ‘베레타 92F’라는 사실을 아는 이들이 적었기 때문이다. 

또 하나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은 이 영화가 바로 리메이크 작이라는 점이다. 원작은 용강이 주연과 감독을 맡은 1967년에 흑백영화로 제작된 <영웅본색>이었으나 오우삼과 서극 버전만큼 인기몰이를 하지 못했다. 

<영웅본색>에서 소마로 분한 주윤발이 불 붙은 위조지폐로 담배에 불을 붙여 피우고 있다.

<영웅본색>에서 소마로 분한 주윤발이 불 붙은 위조지폐로 담배에 불을 붙여 피우고 있다.


<영웅본색>으로 가장 수혜를 받은 인물을 꼽는다면 단연 주윤발이다. 주윤발은 이 영화로 그간 홍콩의 내수용 TV스타에서 일약 아시아 최고 인기 영화배우로 등극했다. <영웅본색> 이전까지 주윤발은 상하이 암흑가를 석권하는 풍운아 허문강으로 분한 <상해탄>(1983) 등 TV드라마에서는 승승장구했지만 유독 영화에서만은 실패를 거듭했었다. <영웅본색>은 이런 그에게 일생일대의 기회가 됐다.

사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소마 역 주윤발이 아니라 송자호, 송자걸 형제역을 맡은 적룡과 장국영이었다. 주요 줄거리도 이들 형제의 대립, 갈등, 그리고 화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주윤발은 이 영화에서 자신의 존재를 관객들에게 강렬하게 각인시키는 데 성공한다. 그는 진지함, 장난기, 분노를 동시에 표현해낼 수 있는 뛰어난 연기력을 가진 배우로 꼽히는데 이 영화에서도 복잡한 상황에 처한 고독한 남자의 심리를 유감없이 표현해냈다. 오우삼 감독은 주윤발을 캐스팅한 이유에 대해 “그는 따뜻한 마음씨와 현대적인 기사도의 풍모를 느끼게 하는 사람이었다”고 회고한 바 있다.

주윤발은 배신을 당해 수감 생할을 하는 적룡의 복수를 위해 사지인 풍림각에서 적들을 응징하나, 다리 불구가 되고 이자웅에게 온갖 수모를 당하면서 3년간 적룡을 기다린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보트를 타고 혼자 떠나야 했던 주윤발은 이자웅에게 잡혀있는 적룡과 장국영을 구하기 위해 보트를 돌리고 기관총을 들고 영웅의 본색을 보인다. 또한 적룡과 장국영의 형제애를 각인시킨 후 장렬한 최후를 맞는다.  

총격 장면의 전설이 된 <영웅본색>의 풍림각 신, 주윤발(왼쪽)이 쏜 총에 맞아 죽는 사람이 데뷔 초기 주성치다.

총격 장면의 전설이 된 <영웅본색>의 풍림각 신, 주윤발(왼쪽)이 쏜 총에 맞아 죽는 사람이 데뷔 초기 주성치다.


이 영화의 성공 이후 주윤발은 홍콩 영화의 블루칩으로서 한 해에 20편씩 영화에서 주연으로 출연하는 눈코뜰새 없는 분주한 일정을 보낸다. 당시 그는 “홍콩의 중국 반환시점인 1999년 전에 보다 많은 영화에 출연하기 위해 이렇게 다작을 했다”는 뜻을 밝혔다. 

주윤발은 어렸을 때 무척 가난한 가정에서 성장했는데 그 과정에서 겪은 다양한 인생경험이 그의 연기에 자양분이 됐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의 배우로서의 운명은 어쩌면 탄생 때부터 점지된 것인지도 모른다. 그의 어머니가 영화광으로 만삭의 몸으로 영화를 보다가 산통을 느껴 극장에서 출산한 아기가 바로 주윤발이다.

오우삼 감독은 무협물을 찍으며 큰 빛을 보지 못한 감독이었지만 <영웅본색>을 통해 홍콩 느와르란 장르를 개척하며 잠재된 역량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제작자인 서극이 만든 제작사 ‘전영공작실’도 이 작품으로 명실상부한 메이저 제작사가 된다.

영화의 OST도 훌륭하다. 홍콩의 대표적 꽃미남 배우이자 가수였던 고 장국영이 부른 주제곡 <당년정(當年情)>과 고가휘와 황점이 참여한 영화 음악은 매우 비장하고 웅장한 선율로  가득 차 있다. 장국영은 <영웅본색2>에서도 주제곡인 <분향미래일자(奔向未來日子)>도 불러 아시아 히트 차트를 달구었다.








장익창 기자

sanbada@bizhankook.com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