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메르스 사태 확산 주역인 삼성서울병원이 2016년 '최악의 시민재해 살인기업'의 오명을 떠안았다.
4·16연대 안전사회위원회, 중대재해 기업처벌법 제정연대, 산재사망대책마련 공동캠페인단 등은 15일 지난해 시민의 안전과 노동자의 건강을 위협한 기업들을 공개했다.
메르스 사태 당시 삼성서울병원은 14번째 환자에 대해 아무런 감염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는 등 초동대처에 실패하면서 메르스 사태를 사회적 대참사로 키우는 결정적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에도 병원 감염 관리에 실패하면서 삼성병원에서만 90명의 환자가 새로 발생했지만, 이 병원에서 감염된 환자를 통해 메르스가 전국 각지로 확산됐다.
이 과정에서 삼성병원은 상황을 공개하지 않고, 전면적 역학조사 및 안전을 위한 폐쇄조치도 취하지 않아 메르스 사태 확산을 부추겼다는 게 이들 단체 주장이다.
이들 단체들은 "한국 병원의 90%가 넘는 민간병원들은 수익이 되지 않는 환자 안전, 병원 감염관리에는 소홀했고, 그 정점에 삼성병원이 있다"며 "인건비 절감을 위해 병원인력을 외주화하고 비정규직으로 고용하며 환자와 병원인력의 안전은 무시했다. 간접고용 비정규직이었던 환자이송요원은 메르스 증상을 보이고도 9일이나 일해야 했다. 여기서 또 456명이 격리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삼성병원은 이미지 쇄신과 경영손실을 막기 위해 세계적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에 컨설팅을 맡긴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컨설팅 주요 내용은 경비 절감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삼성병원 관계자는 "맥킨지에 컨설팅을 맡겼다. 다양한 주제 내용이지 경비절감에 중점을 둔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 역시 삼성병원 등에 역학조사를 맡기는 등 메르스 사태 당시 부적절한 대응을 보였다는 이유로 특별상을 받았다.
또 다른 특별상은 지난해에만 추가 사망자 5명이 발생한 '가습기 살균제'를 제조·판매한 옥시레킷벤키저(이하 옥시), 애경, 롯데쇼핑, 홈플러스, 세퓨, 신세계 이마트, 엔위드, 코스트코, GS리테일, 다이소로 돌아갔다.
안전사회위는 "4일 현재 가습기 살균제에 의한 사망자만 모두 239명"이라며 "가습기 살균제에 의한 사망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