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000달러대로 떨어졌다. 1인당 GNI는 2006년 2만823달러로 2만달러를 돌파하고 나서 10 동안 3만 달러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4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5년 국민계정(잠정)'을 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7340달러(3093만5000원)로 전년(2만8071달러)보다 2.6%(731달러) 줄었다.
달러 기준으로 1인당 GNI가 전년보다 감소하기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6년 만이다.
1인당 GNI는 2009년 1만8303달러로 떨어졌고 2010년 2만2170달러, 2011년 2만4302달러, 2012년 2만4696달러, 2013년 2만6179달러 등으로 꾸준히 증가해오다 지난해 뒷걸음질쳤다.
그러나 원화 기준으로 1인당 GNI는 2014년 2956만5000원에서 4.6%(137만원) 늘었다. 지난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7.4% 상승하면서 원화가 약세를 보인 원인도 그 이유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524달러로 2014년 1만5922달러보다 줄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과 밀접한 지표다.
다만 1인당 PGDI도 원화로 계산하면 1756만5000원으로 2014년 1676만9000원보다 늘었다. 지난해 실질 GNI는 6.5% 증가했다. 실질 GNI는 물가 등을 고려한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은 2.6%로 실질 GNI 증가율을 크게 밑돌았다.
또한 GDP 성장률 2.6%는 2014년 3.3%보다 0.7% 포인트 떨어졌고 2012년 2.3%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다.
전분기 대비 실질 성장률은 작년 1분기 0.8%에서 2분기 0.4%로 떨어졌다가 3분기에는 1.2%로 크게 올랐고 4분기에는 0.7%를 기록했다.
명목 GDP는 1558조6000억원으로 2014년보다 4.9% 늘었다.
연간 GDP 증가율(실질 기준)을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은 1.3%에 그쳐 전년(3.5%)보다 크게 축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