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수출 주력업종 10곳 중 8곳, 사업 쇠퇴·정체

2016.03.21(Mon) 11:22:03

   
 

수출 주력산업에 속하는 기업 10곳 중 8곳이 매출이나 이익이 줄어드는 쇠퇴기 내지 정체기에 접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대응방안으로 ICT 융합, 첨단소재 개발 등 신사업 추진계획이 많았으나 초기단계에 불과해 성과 도출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우리 수출을 이끄는 13대 주력제조업체 300개사를 대상으로‘우리 기업의 신사업 추진실태와 시사점’조사 결과 응답업체의 66.3%가 주력제품의 수명주기에 대해 매출확대가 더디고 가격과 이익은 점점 떨어지는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답했다.  

매출과 이익 둘다 감소하는 쇠퇴기로 들어섰다는 기업은 12.2%였다. 반면 매출이 빠르게 늘면서 고이익을 거두는 성장기라고 답한 기업은 21.5%에 그쳤다. 새로운 시장이 태동하는 도입기라는 업체는 한군데도 없었다. 

13대 주력제조업종은 가전, 무선통신기기, 반도체, 석유제품, 석유화학, 선박, 섬유, 일반기계, 자동차, 자동차 부품, 철강제품, 컴퓨터, 평판디스플레이 등이다.

업종별로는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응답이 ‘컴퓨터’(80%), ‘섬유’(75.0%), ‘평판디스플레이’(72.2%), ‘무선통신기기’(71.4%)에서 많은 반면 ‘자동차’(50.0%)와 ‘반도체’(41.7%)는 적게 나왔다. 쇠퇴기라는 응답은 ‘선박’(26.1%), ‘섬유’(25.0%), ‘평판디스플레이’(22.2%) 순으로 높았다. 

대한상의는 “섬유, 조선 등 노동집약적인 산업 뿐 아니라 시장이 포화되고 기술력이 상향평준화된 IT산업까지 구조적 어려움에 직면해있음을 나타낸다”며 “반도체, 자동차 산업도 후발국의 추격과 시장변화가 빨라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성장둔화에 대응하여 응답기업의 86.6%는 ‘신사업 추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별다른 대책이 없다’ 13.4%’ 추진분야로는 기존 사업과 ‘연관된 분야’(45.7%)나 ‘동일 분야’(43.0%)라고 답해 완전히 새로운 비즈니스를 시도하기 보다는 현재의 강점을 살리려는 경향이 강했다. 

산업별로는 ‘ICT 융합’이 47.9%로 가장 많았으며 ‘신소재·나노’(28.6%), ‘에너지신산업’(26.1%), ‘서비스산업 결합’(9.7%), ‘바이오헬스’(5.9%), ‘고급소비재’(3.4%) 등이 뒤를 이었다.‘복수응답’ ‘ICT 융합’의 대상에 대해서는 ‘사물인터넷·스마트홈’(43.9%), ‘드론·무인기기’(30.0%), ‘3D프린팅’(12.3%), ‘인공지능·로봇’(11.5%), ‘가상·증강현실 시스템’(4.3%)을 들었다. 

하지만 신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도 대응이 초기단계에 불과해 앞으로 가시적 성과를 내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드러났다. 신사업의 진행상황을 묻는 질문에 ‘가능성 검토단계’(56.6%), ‘구상단계’(9.3%) 등 시작단계에 있는 기업이 ‘기술력 확보 등 착수단계’(23.2%), ‘제품출시 단계’(10.5%), ‘마무리 단계’(0.4%)에 있는 기업보다 2배가량 많았다. 

추진 방식으로는 64.8%의 기업이 ‘자체 연구개발’이라고 응답했고, 다음으로 ‘외부기술 도입’(15.8%), ‘공동투자나 M&A’(9.9%), ‘전문연구기관과 제휴’(6.9%), ‘국가의 R&D사업에 참여’(2.6%)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 기업은 스마트로봇, 무인차를 비롯한 혁신적 제품의 상용화를 적극 시도하고 있으며 중국도 산업경쟁력 강화는 물론 미래성장동력 창출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하고 있다”며 “신산업은 시장선점이 중요한데 우리는 아직 적극적 대응이 부족해 경쟁에서 밀릴까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장익창 기자

sanbada@bizhankook.com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