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산업은행, 대우조선-HMM-KDB생명 공룡 자회사 지분 매각 추진 앞 뒤

재정 건전성 확보 화두 속 공적자금 회수 문제에 비상한 관심

2022.10.06(Thu) 16:14:46

[비즈한국] KDB산업은행(산은)이 대우조선해양, HMM, KDB생명 등 10여 곳에 달하는 주요 출자기업들에 대한 보유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먼저 산은은 대우조선해양(대우조선)에 대해 지난달 한화그룹과 조건부 투자합의서(MOU)를 체결했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한화는 내년 상반기 내 대우조선을 인수하게 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록적인 호황을 누리며 경영여건이 크게 개선된 HMM(옛 현대상선)에 대해서는 정부부처들과 협의가 필요하다며 신중한 입장이다. 올 봄 최종 매각 관문을 넘지 못한 KDB생명(옛 금호생명)에 대해선 우선 매각 대상으로 재추진 중이다. ​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점. 사진=임준선 기자


대우조선은 IMF외환위기 후 유동성 위기에 몰린 대우그룹의 해체로 2001년 출범했는데 20년 넘게 주인을 찾지 못하고 표류해 왔다. 현재 산은은 대우조선 지분 과반 이상인 55.7%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대우조선은 방만 경영 등에 따른 부실 누적으로 2015년 이후 투입된 공적자금만 최대 12조 원에 육박한다. 산은과 수출입은행이 2015년 1월 유상증자와 신규 대출로 4조 2000억 원을 지원했다. 산은은 이후에도 신용한도 명목으로 2조 9000억 원 규모 대출, 4조 7000억 원 규모 출자전환, 유상증자 4조 7000억 원을 투입했다.  

 

산은은 2019년 현대중공업그룹에게 대우조선해양을 통째로 인수·합병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그러나 올 초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기업결합에 대해 ​독과점을​ 이유로 불허하면서 최종 무산됐다.

 

산은은 대우조선 인수 기업을 백방으로 물색하던 중 지난달 26일 대우조선을 한화그룹에 매각하는 조건부 투자합의서(MOU)를 체결했다. 한화가 대우조선 유상증자에 2조 원을 투입해 지분 49.3%를 확보해 경영권을 가져가는 조건이다. 

 

산은은 대우조선 지분을 완전 처분하는 것이 아니라 유상증자 후에도 지분을 28.2% 보유하며 한화에 이은 2대 주주 자리를 유지한다. 지분 전량 처분에 동의하는 인수 희망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주목할 점은 산은과 한화가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매각을 진행하면서 더 나은 인수 조건을 제시하는 곳이 등장하면 한화 인수는 최종 불발될 가능성도 있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한화는 내년 상반기 중 대우조선을 품게 된다. 

 

대우조선에 투입된 공적자금 규모에 비해 한화에 2조 원을 받고 매각하는 것에 대해 헐값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한화는 지난 2008년에도 대우조선 인수가로 6조 3000억 원을 써냈지만 인수가 불발된 바 있다. 

 

그러나 업계에선 당시 대우조선 상황과 현 상황은 전혀 다르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대우조선 매출은 2008년 11조 원을 넘었지만 지난해 4조 5000억 원으로 줄었다. 대우조선은 올 상반기에도 5696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는 등 만성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올 6월말 기준 대우조선 부채비율은 676.5%에 달하는 등 심각한 부실 상태다. 

 

한화그룹이 최종 인수자로 선정돼 인수자금 2조 원이 유입되면 자금 대부분은 부채 상환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강석훈 산은 회장은 한화와 MOU 체결 후 “국내 제조업계에 있는 모든 대기업에 인수 의사를 타진했다”고 말했다. 복수의 업계 관계자들은 “산은으로서는 공적자금을 동원한 밑빠진 독에 물붓기 식의 대우조선 지원을 지속할 수 없어 현대중공업 인수 무산 후 신속히 새 주인 찾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며 “한화는 최종 인수에 성공한 후에도 대우조선이 정상화에 이를 때까지 상당 기간 자금 수혈을 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헐값 인수라는 지적에 설득력이 떨어지는 이유다”라고 입을 모았다. 

 

현대그룹 계열이었던 HMM은 2016년 채무재조정을 통해 산은 자회사로 편입됐다. 현재 HMM 지분은 산은 20.69%, 한국해양진흥공사 19.96%, SM그룹 5.52%, 신용보증기금 5.02%를 각각 보유 중이다. 

 

HMM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록적인 실적 행진을 이어가며 경영여건이 크게 개선돼 조기 매각설이 제기돼 왔다. 하지만 올 2분기 이후 컨테이너 운임 급락에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매각 시점을 놓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은은 “HMM 지분 매각 시 금융위원회(금융위), 해양수산부(해수부) 등 정부부처와의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지난달 말 “HMM 민영화 원칙은 분명하지만 시기는 신중하게 가겠다. 여러 요인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조기 매각설에 선을 그었다. 

 

조기 민영화 가능성이 제기됐던 건 HMM의 상황이 크게 호전됐기 때문이다. HMM은 2019년까지만 해도 고질적인 적자에 허덕여 왔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2020년 영업이익 9807억 원을 거둬 흑자전환에 성공 후 2021년 7조 3775억 원, 올 상반기에도 6조 857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HMM은 기록적인 실적 행진으로 지난 6월말 기준 언제든 쓸 수 있는 당좌성예금 등 현금성 자산 3조 4338억 원을 포함해 1년 이내 현금화가 가능한 유동자산만 15조 2239억 원을 확보하고 있다. 유동자산 규모는 1년 전 8조 7680억 원에 비해 무려 73.7%나 급증했다. 올 6월 말 기준 부채비율도 45.65%에 그쳐 매우 건전한 재무구조를 갖고 있다.

 

하지만 최근 HMM의 주력 사업인 컨테이너 운송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글로벌 컨테이너선 해운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9월 30일 기준 1922.95를 기록해 정점을 찍은 올해 1월 7일 5109.6에 비해 9개월 만에 60% 이상 폭락했다. 

 

SCFI는 상하이거래소에서 세계 최대 무역항인 중국 상하이항 수출컨테이너 운송시장의 15개 항로의 스팟 운임을 반영한 운임지수다. 인플레이션 압력에 각국의 금리 인상 등 긴축 기조에 따른 경기 위축 영향으로 해상 물동량이 줄면서 운임이 급락하는 추세다. 내년 이후 글로벌 경기 침체가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HMM의 본격적인 매각까지는 상당 기간이 경과해야 할 것으로 전망한다. 

 

대우조선 매각 8부 능선을 넘은 산은에게 92.7% 지분을 보유한 KDB생명은 최우선 매각 대상으로 꼽힌다.

 

금호아시아나그룹 구조조과정에서 금호생명 지분을 인수하게 된 산은은 2010년 KDB생명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산은은 KDB생명에게 1조 원 이상 자금을 투입했고 수차례 매각을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산은은 2020년 12월 JC파트너스와 KDB생명 지분 전량을 2000억 원에 매각한다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고 투자자를 모아 3500억 원을 유상증자하는 조건으로 금융위의 인수 승인을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올 4월 JC파트너스가 대주주인 MG손해보험이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되자 산은은 KDB생명 매각을 중단했다. 금융회사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르면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금융회사 대주주는 금융위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할 수 없다. 금융위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할 수 없게 되자 계약을 파기했고 새 주인 찾기에 나섰다. 

 

산은은 최근 다른 주요 출자기업들에 대한 지분 매각 추진 방향을 금융위에 보고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에게 금융위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산은은 한진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 지분 10.6%에 대해선 “항공운송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 추진이라는 출자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며 매각 대상에서 제외했다. 

 

산은은 17.0% 지분을 보유한 한국GM에 대해선 2018년 정부와 GM 간 합의에 따라 2028년까지 지분 매각이 보류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7.4% 지분을 보유한 금호타이어에 대해서도 산은은 채권단 공동으로 매각을 추진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금호타이어는 2018년 중국 더블스타에 인수된 뒤에도 산은 외에 우리은행이 7.8% 지분을 보유 중이다. 

 

이밖에 산은은 2.6% 지분을 보유한 케이조선(옛 STX조선해양)과 1.5%지분을 보유한 KG스틸(옛 동부제철)에 대해선 올해 안으로 지분을 매각할 계획이다. 서진캠(8.1%)과 환영철강공업(14.3%)에 대해선 회사와의 협의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매각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 

장익창 기자 sanbada@bizhankook.com


[핫클릭]

· 폭력·파괴 노조쟁의만 손배 '노란봉투법' 정기국회 통과 '안갯속' 속사정
· HMM 등 해운업계, 운임 약세에 저무는 전대미문 호황 잔치
· '공권력 투입 요구'까지…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 노노갈등으로 번진 속사정
· 민영화·쪼개기·지방이전…불붙은 개편론, 산업은행 어디로?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