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글로벌

한국 반도체산업이 '트럼프 덕' 보는 이유 셋

수출금지·위안화 강세 요구·기술기업 M&A 금지로 반사이익…"한국이 다음 타깃" 우려

2019.02.22(Fri) 16:25:40

[비즈한국] 미국의 대 중국 공세로 한국 반도체 산업이 한숨 돌리고 있다. 미국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 반도체에 제재를 가하고 있어 중국의 ‘반도체 굴기’가 주춤해서다. 현재 3~5년 수준인 한국과 중국의 반도체 기술 격차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제조사들의 시장 지배력도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 중국 공세에 따른 반사이익은 크게 세 측면으로 볼 수 있다. 가장 직접적인 영향은 미국의 중국 반도체 수출입 금지 조치다. 한국 기업들의 수출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 중국 공세에 국내 반도체 산업이 반사이익을 누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7년 11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이 중국을 방문 중인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베이징 인민대회당 행사장에서 나란히 국기 옆에 선 모습. 사진=연합뉴스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중국의 DRAM(디램) 회사 푸젠진화반도체(JHICC)의 수출입 금지를 발표했다. 미국 군사 분야에 반도체를 공급하는 미국 기업들이 JHICC로 인해 경영상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미국은 칭화유니그룹과 허페이이노트론도 제재 대상에 올릴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미국과 기밀을 공유하는 ‘파이브 아이즈(Five Eyes)’에도 중국산 반도체 사용을 금지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할 전망인 가운데, 중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제제로 국내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미-중 간 무역분쟁으로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굴기가 상당한 역풍을 만나게 됐다. IT 산업 전반에 부담이 커졌지만, 한국 반도체 기업으로서는 중장기 관점에서 유리 환경에 접어들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또 반대로 미국이 대 중국 반도체 수출을 금지했기 때문에 중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장비를 대신해 한국·일본 장비를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더불어 통신칩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취약했던 부문의 수출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세계 통신칩 시장은 퀄컴, 에릭슨, 화웨이 등 미국과 중국 업체들이 장악하고 있는 상황. 삼성전자의 비메모리 반도체 생산 능력은 이들 업체에 비해 떨어진다.

 

5세대이동통신(5G) 인프라 확대로 시장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삼성전자도 대규모집적회로(LSI) 부문에 역량을 집중하며 공략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세계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에 스파이 혐의를 제기하고 있어 국내 업체들이 진출할 여지가 확보됐다. ‘중국제조 2025’를 꿈꾸던 중국은 첨단 산업 부문에서 미국의 공세가 계속될 경우 백색가전 등으로 주력 산업을 옮길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여기에 미국이 위안화 강세를 요구하고 있는 점도 한국 기업에 호기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국 당국이 벌이고 있는 인위적인 위안화 약세 개입을 겨냥하고 있다. 미국으로서는 중국의 수출경쟁력을 떨어트리는 한편 무역역조 완화, 중국 금융시장 개방을 목적으로 위안화 강세를 희망하고 있다. 이에 현재 미중이 벌이고 있는 고위급 무역협상에서도 위안화 환율 문제를 깊게 다루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시장에서도 결국 위안화가 절상될 것이라는 예상에 달러화 대비 위안화 가치가 연일 상승하며 최근 달러당 6.7위안까지 상승했다. 위안화의 마지노선으로 불리는 7위안의 벽도 추세적으로 뚫어낼 거란 관측도 많다.

 

중국은 한국·일본과의 반도체 기술 격차를 좁히기 위해 지난해부터 국내외 반도제 장비·설비 제조사에 대한 적극적인 M&A를 펼쳐왔다. 반도체 회사를 방문한 시진핑 주석. 사진=연합뉴스


위안화가 오르면 상대적으로 한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도 높아진다. 중장기적으로 위안화가 강세를 이어가면 반도체 치킨게임에서 한국 기업들의 부담은 한결 낮아진다. 중국은 위안화 환율의 급격한 쏠림을 막기 위해 자국이 보유한 달러화의 유출을 제한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의 해외 기업 인수·합병(M&A)을 가로막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중국은 한국·일본과의 반도체 기술 격차를 좁히기 위해 지난해부터 국내외 반도제 장비·설비 제조사에 대한 적극적인 M&A를 펼쳐왔다. 이에 기술 유출 우려가 커지자 국내 정보당국도 반도체 제조사에 인력을 배치하는 등 방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의 자금 역시 이를 피해 홍콩의 글로벌 사모펀드를 조성해 투자하는 식으로 해외 기업 인수 활동을 벌여왔다. 재무적 투자라고 해도 기술 협약 계약 등 옵션을 둠으로써 기술 빼가기가 가능했다. 당국으로서는 사모펀드의 기술 기업 투자에 대한 뾰족한 방어책이 없던 차에 중국 당국이 달러화 해외 유출에 제동을 걸면서 한숨 돌리게 됐다.

 

특히 미국이 중국의 자국 기술기업 M&A를 막겠다고 선언하면서, 중국의 움직임이 주춤해진 측면도 있다. 미국계 사모펀드 관계자는 “중국 본토 자금이 홍콩에서 조성된 사모펀드에 투자해 해외로 나가는 식이다. 펀드레이징이 어떻게 이뤄졌고 투자자가 누구이며, 목적이 무엇인지는 외부로 밝혀지지 않는다”며 “중국에서 기업은 물론 정책성 자금이 많이 모집돼 해외 기업 M&A를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런 반사이익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미국이 중국에 이어 일본을 겨냥하는 등 무역전쟁을 확산할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어서다.

 

자국 반도체 산업 보호를 위해 한국도 공격 대상에 올릴 수 있다. 다른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은 “가장 염려되는 점은 미국이 중국과 무역협상을 타결한 뒤 다음 타깃으로 한국이나 일본을 겨냥하는 경우”라며 “마이크론과 도시바가 제품을 공동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보다는 한국이 제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김서광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직격 인터뷰] 2심 불복 '안아키' 한의사 김효진 "문제의 핵심은 백신"
· [갤럭시 언팩] 따분한 시장, 'S10'으로 딛고 '폴드'로 숨통 틔웠다
· '레드오션' 여행시장에 뛰어든 쿠팡·위메프·티몬의 항로
· [현장] SK하이닉스 '입지설'에 들썩이는 용인, 동탄까지 기대감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