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경쟁자 느는데 거래절벽에 'X방'까지…공인중개사 삼중고

"중개소당 150만여 원 광고비 지출 부담"에 직방 "회원 부담 최소화 가격 정책"

2019.02.14(Thu) 14:27:58

[비즈한국] 공인중개사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주택 매매량 감소와 경쟁자 증가로 수입은 줄어드는데 광고비 지출은 늘었기 때문이다. 

 

공인중개사 시험 지원자는 해마다 늘었다. 시험을 주관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실시된 제29회 공인중개사 1차 시험 지원자는 20만 6401명으로 5년 전인 2013년(9만 6279명)보다 두 배 증가했다. 지원자는 2014년 11만 2311명, 2015년 13만 7875명, 2017년 18만 4758명으로 계속 늘었다.  

 

그만큼 합격자도 많아져 매년 경쟁은 심화되고 있다. 2014년 8만 6230명이었던 개업 공인중개사는 꾸준히 증가해 2018년 10만 5363명에 달했다. 현재 전국 공인중개사 자격 보유자는 42만 2957명이다. 지난 제29회 시험에서만 1만 6885명이 새롭게 공인중개사가 됐다(관련기사 "사법고시 뺨친다" 공인중개사 응시생들 뿔난 까닭).   

 

서울 서초구 잠원동에 위치한 부동산에 아파트 매매 전단이 붙어있다. 사진=고성준 기자


그 결과 지난해 폐업한 공인중개사 수는 개업자 수를 넘어섰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 11월 한 달 동안 전국에서 개업·폐업한 공인중개사는 각각 1343명, 1420명으로 나타났다. 12월은 개업자 1639명, 폐업자 1808명으로 77명이었던 격차는 169명으로 커졌다. 폐업한 공인중개사가 개업자 수를 앞선 건 지난 2013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 

 

‘파이(수입원)’도 줄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월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은 1879건으로 전년(1만 198건) 대비 82%가량 감소했다. 1월 기준으로 따지면 2013년(1196건) 이후 5년 만의 최저치다. 지난해 10월 1만 111건이었던 거래량은 11월(3544건)과 12월(2296건) 꾸준히 감소했다. KB부동산 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마지막 주 전국 매매거래지수는 3.7로, 2012년 8월 셋째 주 3.2 이후 6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반면 지출 부담은 늘고 있다. 확보한 매물을 홍보해야 할 부동산 중개 플랫폼이 다양해졌기 때문이다. 1세대 부동산 중개 플랫폼인 ‘네이버 부동산’은 공인중개사로부터 매물을 등록받아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오던 사업을 2014년 종료했다. 대신 부동산114, 부동산뱅크, MK부동산, 한경닷컴부동산 등 부동산정보회사(CP)로부터 받은 매물 정보를 유통하는 플랫폼으로 변모했다. 각 CP는 개별 공인중개사로부터 가입비를 받은 뒤 네이버 부동산에 매물을 올리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고 있다.  

 

‘직방’과 ‘다방’ 등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2세대 부동산 중개 플랫폼까지 가세하면서 부동산 광고 시장은 분화했다. 직방과 다방은 처음 무료였지만 각각 출시 2년 만인 2014년과 2015년 공인중개사로부터 광고비를 받기 시작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직방’의 매출액은 2017년 기준 345억 6000만 원으로 전년(275억 5000만 원) 대비 25% 늘었다.     

 

화살은 부동산 중개 플랫폼을 향하고 있다. 개별 부동산 중개 플랫폼이 과다한 광고비를 걷어간다는 것.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네이버 부동산 광고비에 죽어나는 공인중개사를 구해달라” “직방의 횡포에서 중개업자를 구해달라”는 민원이 제기됐다.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 인근에서 영업 중인 한 공인중개사는 “MK부동산을 통해 네이버 부동산에 건당 1000원대에서 많게는 1만 7400원까지 매물을 올리고 있다”며 “월 250만 원 정도의 광고비를 쓰는데 남들이 모두 하니까 광고효과를 누리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비용을 감수한다”고 전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한 공인중개소당 한 달에 보통 150만~200만 원을 광고비로 쓴다. 평소도 그렇지만 거래량이 현저히 줄어든 지금 상황에서 이 비용은 공인중개사에게 큰 부담으로 느껴진다”며 “일부 중개사무소는 허위 매물로 눈을 돌리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일은 소비자 불편을 가중시키고 중개업계에 대한 불신을 키운다. 업계는 그 출발점을 과도한 광고료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직방’과 ‘다방’ 등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2세대 부동산 중개 플랫폼까지 가세하면서 부동산 광고 시장은 분화했다. 사진=각 사 공식 페이스북

 

네이버 부동산 관계자는 “네이버 부동산은 2014년 사업을 철수해 일종의 ‘게시판’으로써의 역할만 남겨뒀다. 네이버가 징수하는 비용은 CP사로부터 받는 서버(이용)비 500원이 전부다. 공인중개사가 광고비를 내는 곳은 네이버 부동산이 아닌 CP사”라고 밝혔다. 네이버 부동산 랭킹 상단에 노출되기 위한 조건에 대해 이 관계자는 “매물이 나온 일자 등 내부 알고리즘에 따라 ‘진정성 점수’를 매기고 허위매물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는 매물을 상단에 노출한다. 네이버 부동산은 돈을 받고 매물을 상단에 노출시키지 않는다”고 답했다. 

 

직방 관계자는 “직방은 2014년 서비스 유료화 후 2년간 가격을 동결했다. 2016년 처음으로 가격을 조정한 이후 동일한 비즈니스 모델을 유지하고 있다. 매물 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파트의 경우 서비스를 오픈한 2016년부터 지금까지 모든 중개사무소에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일었던 가격 인상 논란에 대해 ​이 관계자는 “직방은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고자 12월 매물 카테고리를 개편해 ‘빌라’를 신설했다. 기존 ‘원룸’이라는 카테고리에 오피스텔, 원룸, 투룸, 쓰리룸 등이 혼재돼 있었다. 매물 카테고리 개편으로 일부 중개사의 경우 총광고비가 늘 수는 있지만 다수의 중개사무소가 원룸과 빌라 광고비 인하를 통해 부담을 덜어낼 수 있도록 하고자 노력했다”고 밝혔다. 

 

스테이션3 ‘다방’ 관계자는 “스테이션3 다방은 공인중개사 회원들의 편의성 및 광고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역 △​광고 기간 부동산 매물(원투쓰리룸/오피스텔/아파트) 형태 △​매물 건수에 따라 다양한 상품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 지역의 매물 10건, 30일 기준 광고비는 15만~20만 원대”라며 “상품 가격 정책은 공인중개사 회원들의 운영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업계 광고비 시세에 맞추면서도 회원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가격 정책을 정한다”고 설명했다.​ 

차형조 기자 cha6919@bizhankook.com


[핫클릭]

· [현장] 청계산·도봉산 입구에서 맞아본 아웃도어 침체 '한파'
· 오를 땐 '시세대로' 내릴 땐 '기다려라' 세입자는 '법대로?'
· [단독] 최태원 SK 회장, 유엔빌리지 고급빌라 매각
· 홍라희·노소영·정희자·김영식…재벌가 사모님들의 미술품 사랑
· 부동산 간편식 화장품…5대 제약사들 열올리는 '부업'의 비밀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