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CEO 뉴페이스] '관료인생 30년' 위성백 예금보험공사 사장

여당 전문위원 출신…첫날 노조 방문하는 유화적 행보 보여

2018.09.28(Fri) 15:37:28

[비즈한국] 예금보험공사는 예금자보호법에 의거해 금융회사가 파산 등으로 예금을 지급할 수 없는 경우 예금의 지급을 보장함으로써 예금자를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1996년 설립된 준정부기관이다. 구체적으로는 은행 등 각종 금융사들이 예금보험공사에 보험료를 지급하고 예금보험공사는 예금자들의 예금을 5000만 원까지 보호해준다. 2011~2012년 저축은행 사태가 터졌을 때 예금보험공사의 존재감이 강하게 드러났다.

 

지난 14일 금융위원회는 위성백 전 기획재정부 국고국장을 신임 예금보험공사 사장으로 내정했다고 밝혔다. 예금보험공사 사장은 금융위원장의 제청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다. 금융위는 “(위 사장은) 오랜 공직경험 등을 통해 경제·금융정책 전반에 걸친 탁월한 직관력과 높은 전문성을 보유한 한편 경제학 박사로서 이론과 실무를 겸비했다”며 “향후 예금보험공사가 예금자보호 및 금융제도의 안정성 유지를 위한 선도적인 공공기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임자로 판단했다”고 전했다. 

 

전임 곽범국 전 예금보험공사 사장의 임기는 5월 말까지였다. 그러나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사퇴하고 지방선거까지 겹치는 어수선한 상황이었기에 차기 사장 선임도 늦어졌다. 금융위는 곽 전 사장의 임기가 두 달 가까이 지난 7월 중순에서야 차기 사장 선임 절차에 착수했다. 당시 위 사장과 진승호 전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장, 송준상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등이 차기 사장 후보로 거론됐다.

 

지난 18일 위성백 예금보험공사 신임 사장이 취임했다. 사진=예금보험공사 제공


1960년생인 위 사장은 순천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독문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미국 뉴욕주립대 경제학 박사를 취득했다. 그는 1988년 행정고시에 합격해 관료의 길을 걸었다. 

 

위 사장은 기획예산처(현 기획재정부)에서 주로 근무했다. 기획재정부 산업재정기획단 건설교통재정 과장, 공공혁신본부 제도혁신팀장, 공공정책국 정책총괄과장, 기획조정실 기획재정담당관 등을 역임했다. 2015년 2월~2016년 5월에는 국방대학교에 파견돼 안보과정 교육훈련을 담당한 특이한 이력도 갖고 있다. 2016년 5월부터 2017년 8월까지는 기획재정부 국고국장을 맡았다.

 

위 사장은 기획재정부 국고국장 퇴임 후 더불어민주당 기획재정 수석전문위원으로 활동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의 활동이 크게 눈에 띄지는 않았지만 여당에서 활동 중이었기에 관가에 공석이 생기면 후보로 거론되곤 했다. 그렇다고 위 사장이 정치색이 크게 드러나는 인물은 아니다. 위 사장은 이명박 정부 시절 기획재정부 정책총괄과장을 맡으면서 공공기관 통합에 앞장선 경험도 있다.

 

위 사장은 지난 18일 예금보험공사 사장에 공식 취임했다. 그는 취임 첫날 노동조합 사무실을 찾았다. 노조 역시 위 사장에게 꽃다발을 선물하면서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가진 것으로 전해진다.

 

위 사장은 취임식에서 “금융기관과 금융시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금융기관의 부실 유발 요인 및 시스템에 내재된 리스크를 포착·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며 “예금보험제도의 목적이 금융시스템 안정과 금융소비자 보호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예금보험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위 사장은 취임 다음날인 19일 예금보험공사 사옥 앞에서 ‘추석맞이 행복예감 직거래장터’를 개최했다. 위 사장은 “시민들이 장터 물건을 구매할 때마다 좋은 물건을 저렴하게 구매해 이익일 뿐 아니라 농가와 사회적기업의 수익증대, 나아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다”며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중한 가정을 지켜줄 수 있으니 이보다 더 좋은 착한 소비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7일 취임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위 사장과 32회 행정고시 동기다. 1988년 행정고시 합격자는 150명, 이 중 재경 분야는 40명이었다. 당시 재경 분야 합격자를 살펴보면 위 사장, 성 장관, 채희봉 산업정책비서관, 이병래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등 쟁쟁한 인물이 있다.

 

대한민국 경제의 기틀을 일군 기업들은 창업 1~2세대를 지나 3~4세대에 이르고 있지만 최근 일감 몰아주기 규제가 강화되면서 가족 승계는 더 이상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치·사회적으로도 카리스마 넘치는 ‘오너경영인’ 체제에 거부감이 커지고, 전문성을 바탕으로 담당 업종에서 잔뼈가 굵은 ‘전문경영인’ 체제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늘고 있다. 사업에서도 인사에서도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건 전문경영인이며 그 자리는 뭇 직장인들의 꿈이다. ‘비즈한국’은 2018년 연중 기획으로 각 업종별 전문경영인 최고경영자(CEO)의 위상과 역할을 조명하며 한국 기업의 나아갈 길을 모색해본다. 

박형민 기자 godyo@bizhankook.com


[핫클릭]

· [핫 CEO] '성완종 리스크' 극복 총력전, 이성희 경남기업 대표
· [CEO 라이벌 열전] '초대형IB 향해' 신한금융투자 김형진 vs 하나금융투자 이진국
· [CEO 라이벌 열전] '직판 진검승부' 참좋은여행 이상호 vs 노랑풍선 김인중
· [핫 CEO] '은둔의 경영자' 김상열 호반건설 회장 승승장구 비결
· [CEO 라이벌 열전] '형제의 베개싸움' 에이스 안성호 vs 시몬스 안정호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