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우리가게 전담예술가·반값사무실, 자영업자 고민 덜어줄까

서울시에서 점포 리모델링 지원…청년·사회적기업에 공공공간 반값 임대 예정

2018.09.12(Wed) 16:36:01

[비즈한국] 올해 문을 닫는 자영업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우려되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발빠르게 대책 마련에 나서는 모습이다. 자영업자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대표적인 지원책은 저리의 창업자금 대출이다. 그러나 이 역시 창업자들의 또 다른 빚으로 남게 돼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지적도 나온다. 

 

그렇다면 자금 지원 외에 다른 방법은 없을까? 위기탈출에 나선 자영업시장의 모습을 들여다봤다.

 

서울 정릉시장에 문을 연 청년빵집 빵빵싸롱. 우리가게 전담예술가 프로젝트를 통해 리뉴얼했다. 사진=서울시 제공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2018년 8월 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대출은 올해 8월까지 18조 3000억 원이 증가해 지난해 같은 기간 증가액 17조 5000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올 상반기 ‘개인사업자대출 119’ 제도를 이용한 대출 건수도 5798건, 대출액수는 4801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인사업자대출 119는 자금난으로 채무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개인사업자의 연체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대출만기연장 또는 이자감면 등을 지원해주는 제도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해당 대출 건수와 금액이 각각 40%와 43.6%가량 늘어났고 특히 5000만 원 이하 소규모 대출 지원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45%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매출 상승률에 비해 임대료와 인건비 등의 비용 상승폭이 더 커지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대출이 이뤄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자금 지원보다 매출을 상승시키는 더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에서 올해 3회째 진행하고 있는 ‘우리가게 전담예술가’ 프로젝트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해당 사업은 소상공인과 청년예술가가 손을 잡고 변화를 모색하는 작업으로 2016년 처음 시작돼 올해 상반기까지 총 114개 점포가 변화의 손길을 거쳤다.

 

서울 금천구 독산동에서 한신세탁소를 운영하고 있는 배병철 씨는 “이번 사업을 통해 개성 있는 간판으로 바꿔 달았는데 주변이 환해지고 가게 분위기도 밝아졌다”며 “젊은 손님들이 특히 좋아하고 오랫동안 매장을 이용하고 있는 단골손님들도 깔끔하고 좋아졌다는 반응”이라며 만족감을 나타냈다.

 

금천구 독산동 한신세탁소도 우리가게 전담예술가 프로젝트를 통해 가게 분위기가 깔끔하고 밝아졌다. 위 사진이 바뀐 후, 아래 사진이 바뀌기 전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이번 프로젝트로 가게 전면이 바뀐 서울 마포구 연남동 ‘리얼시리얼’은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 우수사례로 실렸는가 하면, 마포구 서교동 ‘버니카페’는 벽화작업을 통해 젊은이들에게 사진 찍기 좋은 핫한 장소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지난해 사업에 참여한 한 참가자는 “점포 인테리어 변경 비용이 일반 외주업체와 비교해 70% 정도 비용이 저렴하고, 결과물은 예술가의 개성이 담겨 만족도가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이성은 서울시 소상공인지원과장은 “특색 있는 간판과 벽화, 내부 인테리어 개선 등의 리모델링은 물론 명함과 로고, 상품 패키지까지 점포들의 개성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 소상공인과 청년예술가 모두의 높은 만족도로 이어지고 있다”며 “지난해 참가자의 80% 정도가 실제 사용된 비용이 50만 원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올해 참여점포를 지난해 53개에서 60개로 확대해 상·하반기로 나눠 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문턱 높은 사무실 임대료가 걱정이라면 ‘반값 사무실’ 정책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행정안전부는 청년창업자와 사업적기업의 임대료 걱정을 덜도록 시세의 반값에 사무 공간을 임대하는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청사나 공공건물의 남는 공간을 미취업 청년과 사회적기업 운영자에게 제공하고, 임대료를 기준 가격의 50%까지 깎아주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을 다음달 15일까지 입법예고한다.

 

서울 은평구에서 액세서리 사업체를 운영 중인 20대 청년창업자 한은영 씨는 “사업이 아직 자리를 잡은 게 아니라 월 100만 원의 임대료가 상당히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며 “여성창업센터의 경우 저렴하기는 하지만 직원은 함께 입주할 수 없어서 울며 겨자 먹기로 버티고 있는데 공공기관의 반값 임대료 사무실을 쓸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 같다. 빨리 도입됐으면 좋겠다”고 환영했다.​ 

김미영 창업에디터 may424@bizhankook.com


[핫클릭]

· [인터뷰] '참기름 소믈리에'가 연남동에 방앗간 차린 까닭
· [단독] CJ프레시웨이, 청주프레시원에 35억 소송 제기
· [골목의 전쟁] 배달앱은 골목상권을 어떻게 바꿨나
· 소상공인 위한 서울페이, '알리페이의 꿈' 이뤄질까
· [골목의 전쟁] 우리 동네 추로스 가게는 왜 망했을까?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