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핫 CEO] 이영훈 포스코건설 사장의 실적·시공능력 반등 카드는?

'재무통' 구원투수 취임 후에도 실적부진 진행형…"안정적 물량으로 실적 향상"

2018.08.23(Thu) 18:20:41

[비즈한국] 지난 3월 취임한 이영훈 포스코건설 사장이 회사의 실적부진으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영훈 사장은 30년 넘게 포스코그룹에서 재무통으로 입지를 다져왔기에 포스코건설의 구원투수로 기대를 모았다.

 

이영훈 사장은 1985년 포항종합제철(현 포스코)에 입사해 2011년 자금관리실 자금기획팀장, 재무투자부문 재무실장, 전략기획총괄부문 재무실장, 경영전략실장 등 재무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2013년 부사장 승진 후 포스코건설 경영기획본부장과 재무투자본부장으로 활동했고 2016년 사장 승진 후 포스코켐텍 대표를 지내다 올해 포스코건설 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취임 전까지 건설사에 몸담은 기간이 포스코건설 1년 정도에 그쳐 건설 전문성은 부족한 편이다. 

 

이영훈 포스코건설 사장. 사진=포스코건설 홈페이지


이영훈 사장이 직면한 최우선 과제는 회사의 실적 개선이다. 포스코건설은 2013년 연결기준 매출 10조 1552억 원으로 처음 10조 원을 돌파하며 정점을 찍은 후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 연속 매출이 감소했다. 회사 매출은 2014년 9조 5805억 원, 2015년 8조 8714억 원, 2016년 7조 1280억 원, 2017년 7조 191억 원으로 줄었다. 

 

경쟁사인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대림산업, GS건설이 같은 기간 매출이 성장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포스코건설로선 뼈아플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포스코건설에게 2016년은 전년 대비 1조 6000억 원 이상의 매출 감소와 함께 5090억 원이란 천문학적인 영업손실을 기록한 해였다. 

 

이영훈 사장이 취임한 지 6개월도 채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단정하긴 무리지만, 포스코건설의 매출 감소세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포스코건설은 올해 상반기 매출 3조 2720억 원을 거두며 지난해 같은 기간 3조 3648억 원에 비해 900억 원 이상 줄었다. 영업이익도 지난해 같은 기간 1992억 원에서 올해 상반기 1544억 원으로 450억 원 가까이 감소했다. 

 

포스코건설 매출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은 다른 대형 건설사들과 마찬가지로 저유가 장기화와 이란 제재에 따른 오일머니 감소로 인한 해외건설 사업 불황이 꼽힌다. 포스코건설의 든든한 버팀목인 포스코의 수주 물량이 급감한 것도 원인이다. 포스코건설의 포스코 상대 매출은 2014년 8261억 원에서 2017년 1797억 원으로 불과 3년 새 78% 이상 줄었다. 

 

이영훈 사장은 시공능력평가순위를 회복해야 하는 과제도 떠안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지난 2011년 시공능력순위 6위에서 4위로 올라선 후 2014년과 2016년에는 3위를 기록했다. 2017년 5위 등 2011년 이후 7년 연속 ‘빅5’에 사명을 올렸다. 그런데 올해 시공능력순위에서 GS건설에 밀려 6위로 내려앉았다. 

 

시공능력순위는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가 전국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공사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평가해 발표한다. 건설사가 공사 물량을 수주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다. 사실상 업계의 서열이므로 건설사 간 물밑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이영훈 사장은 취임과 동시에 회사의 시공능력순위 하락이란 악재를 만난 셈이다. 

 

다만 포스코건설은 수주한 공사 물량이 많아 향후 실적이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포스코건설의 수주잔액은 37조 5000억 원이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을 기준으로 하면 5년 이상 일감을 확보한 셈이다. 포스코건설 측은 “안정적인 물량을 확보해 실적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대한민국 경제의 기틀을 일군 기업들은 창업 1~2세대를 지나 3~4세대에 이르고 있지만 최근 일감 몰아주기 규제가 강화되면서 가족 승계는 더 이상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치·사회적으로도 카리스마 넘치는 ‘오너경영인’ 체제에 거부감이 커지고, 전문성을 바탕으로 담당 업종에서 잔뼈가 굵은 ‘전문경영인’ 체제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늘고 있다. 사업에서도 인사에서도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건 전문경영인이며 그 자리는 뭇 직장인들의 꿈이다. ‘비즈한국’은 2018년 연중 기획으로 각 업종별 전문경영인 최고경영자(CEO)의 위상과 역할을 조명하며 한국 기업의 나아갈 길을 모색해본다.​  ​

장익창 기자 sanbada@bizhankook.com


[핫클릭]

· 시총 상위 30대 기업, 올 상반기 고용 5200명 늘었다
· [단독] '일반인이 자기차로 로켓배송을?' 쿠팡 플렉스 도입 논란
· [썬데이] '영원한 엠마뉴엘' 실비아 크리스텔
· '엘시티 비리' 이영복, 독산동 부지 관련 탈세 의혹도 불거져
· [CEO 라이벌 열전] 회장 후보 포스코건설 이영훈 vs 검사 출신 GS건설 임병용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