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중국계 암호화폐 '한국 러시'의 비밀

규제 강한 중국 피해 외국계 암호화폐 규제 없는 한국을 '퍼핑' 무대로 활용 관측

2018.08.20(Mon) 23:48:42

[비즈한국] 최근 국내 암호화폐 시장에 ‘차이나 머니’가 러시를 이루고 있다. 세계 4위 암호화폐 거래소인 후오비를 시작으로 중국계 거래소가 속속 문을 열고, 이른바 ‘중국 코인’들이 대거 상장하고 있다. 한국 말고도 미국과 일본·싱가포르·홍콩 등 블록체인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나라는 여러 곳 있다. 그럼에도 중국 자금은 유독 한국 시장에 열을 올리며 거세게 공략하고 있는 것이다. 그 이유가 뭘까.

 

중국은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가 강한 대표적인 나라다. 세부적인 법 규제는 마련되지는 않았지만 원칙적으로 ICO(암호화폐 상장)를 금지하고 있다. 암호화폐를 이용한 상거래도 마찬가지다. 이에 한국을 활로 시장으로 찾았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올 초 홍콩의 한 컴퓨터 매장에서 암호화폐 채굴에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를 판매하고 있는 상인의 모습으로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없다. 사진=EPA/연합뉴스


한국 역시 ICO를 금지하고 거래소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아직 해외 거래소나 외국계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안은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이에 규제 탓에 상장이 막힌 중국계 코인을 한국의 거래소에 상장시켜 한국과 중국 투자들로부터 투자금을 끌어 모을 목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벤처캐피탈 관계자는 “중국에서 집행되지 못하는 암호화폐 마케팅 비용이 대거 국내로 유입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코인당 60만 원 안팎에 머물던 비트코인캐시가 280만 원 수준으로 치솟았을 때가 대표적인 사례다. 당시 중국계 자금이 국내 거래소인 빗썸으로 대거 유입돼 가격이 급등했다. 세계적으로 비트코인캐시 급등의 진원지는 빗썸이었다. 빗썸 서버가 다운됐을 정도였다. 당시 빗썸 서버다운을 둘러싸고 디도스(DDos) 공격설도 돌았다. 비트코인캐시의 부상을 경계한 중국의 비트코인 진영의 공격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런 얘기가 사실이라면 중국의 사이버전이 한국에서 벌어진 셈이다. 검찰은 비트코인캐시 투자를 위해 국내로 유입된 중국 자금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인천지검에 암호화폐 단속 특별반을 설치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암호화폐 업계 관계자는 “당시 국내에서 암호화폐로 돈을 번 중국계 자금은 해외로 빠져나갔다”며 “국부 유출을 막겠다던 정부의 발언도 이런 행위를 방지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에 다수의 암호화폐가 현지 당국의 규제를 피해 한국을 펌핑(pumping, 인위적으로 가격을 끌어올리는 행위)의 주무대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암호화폐들은 정부 규제를 피해 싱가포르·스위스 등 암호화폐 발행이 비교적 쉬운 해외에 재단을 설치하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원칙적으로 ICO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단속에 나서겠다고 경고한 상황이다. 그런 사이 중국 업체들이 한국에 대거 진출한 셈이다. 

 

사실 중국계 코인은 여전히 다단계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다. 네트워크 식 프리세일(사전판매)로 투자자들을 끌어 모은 뒤 가격을 띄우고 있다. 싱가포르에서 암호화폐 재단을 운영 중인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중국에는 개발회사들이 여러 종류의 암호화폐를 개발해 종류별로 전자지갑에 담아 좌판 늘어놓고 판매하고 있을 정도”라며 “고객의 요구에 맞춰 암호화폐를 커스터마이징하는 경우도 있으며, 대부분 다단계 투자자를 끌어 모으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김서광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부동산 인사이트] 중대형 아파트로 갈아타시게? '호갱' 안 되려면
· [홍춘욱 경제팩트] 내수는 부진한데, 재정은 흑자라니?
· [김대영의 밀덕] 한국형 항공모함 논란의 '확대해석'
· 먹튀부터 시세조종까지, 진화하는 '코인 리딩방' 실태
· 지방선거 바람 탄 암호화폐 '지역코인' 공약의 허실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