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덕후

[스덕일기] 그 많던 스타크래프트의 라이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킹덤 언더 파이어, 임진록, 아마겟돈…스타의 스토리텔링 못 넘었다

2017.12.21(Thu) 15:49:30

[비즈한국] 박지성 선수가 해외 축구의 아버지라 불리듯이, 스타크래프트는 현존하는 모든 e스포츠의 아버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에 프로게이머라는 새로운 직업을 만들고 코치와 감독, 연습생 등을 포함한 프로게임구단 체제가 스타크래프트에서 출발했다. 위기가 없던 건 아니다. 미국 게임 스타크래프트에 수많은 국산 전략시뮬레이션 게임들이 맞섰기 때문이다. 과거 스타크래프트에 대항했던 국산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을 알아보자. 

 

킹덤 언더 파이어는 워크래프트와 닮았다. 사진=유튜브 채널 서네떡 캡처


‘킹덤 언더 파이어’는 2000년 한국 게임사 판타그램이 개발한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이다. 스타크래프트와 같은 장르인 전략시뮬레이션이지만, 스타크래프트보다 워크래프트 시리즈와 더 유사했다. 일반 유닛 생산과 운영이 전부인 스타크래프트와 달리 영웅 유닛을 도입해 RPG(롤 플레잉 게임) 요소를 추가했기 때문이다. 인간연합과 암흑동맹이라는 두 가지 종족을 제공했는데, 이는 워크래프트2의 얼라이언스와 호드 대립 구도와 유사했다. 

 

한국 게임이지만, 수출을 고려해 영어 더빙을 했다. 당시 양대 방송사라 불리던 온게임넷과 MBC게임에서 e스포츠 대회를 진행했다. SKT T1의 ‘신형엔진’이라 불리던 전상욱이 온게임넷 킹덤언더 파이어 리그 우승자다. 불완전한 밸런스와 부족한 게임성으로 흥행을 유지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2011년부터 MMORPG(매시브 멀티레이어 온라인 RPG)로 킹덤 언더 파이어2가 개발되고 있다는 기사가 나왔다. 그 후 7년가량이 지난 지금, 800억 원을 투자했다는 소식과 개발진의 임금 체납 소식이 동시에 들리는 희귀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올해 5월 대만에서 정식 오픈했으나 한국 서비스는 아직이다. 

 

임진록은 지금 해도 재밌을 정도로 잘 만들어졌다. 사진=유튜브 채널 풍월량 캡처


한국하면 조선, 조선하면 이순신, 이순신하면 임진록이다. 2000년에 출시된 ‘임진록2’도 한국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의 전설이다. 명, 조선, 일본까지 총 세 나라를 플레이할 수 있으며 날씨와 풍향 그리고 시간 등 다양한 요소가 들어갔다. 전략시뮬레이션이라는 장르에 최적화된 게임성을 보여줬다. 

 

역사와 판타지를 적당히 버무려 그럴 듯한 스토리라인을 구성했고 세 나라의 밸런스도 나쁘지 않았다. 장수 위주로 돌아가는 조선, 게릴라전에 특화된 일본, 유닛 하나하나가 강한 명까지. 

 

MBC게임에서 개인 리그를 진행했으나 길게 가지 못했다. 시대를 너무 앞서갔다는 평가를 받는다. 임진록2가 채택한 영웅 시스템과 종족별 특징, 낮과 밤 시스템 등은 임진록 이후에 나오는 워크래프트3에서 볼 수 있다. 경쟁자이던 스타크래프트가 너무 강해 기를 펴지 못한 게 아쉽다. 

 

게임 아마겟돈은 이름이 아까웠다. 사진=유튜브 채널 Ace Saga 캡처


큰 기대로 게임을 설치한 필자의 가슴에 있는 대로 상처를 낸 게임도 있었다.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아마겟돈이다. 원작도 유명했고 개발사도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스타크래프트의 성공 이후 수많은 아류작이 탄생했기에 기대가 적을 법했지만, 원작 덕분에 혹했다. 

 

뚜껑을 열어보니 괴작 중의 괴작이었다. 그래픽, 버그, 스토리까지 좋은 게 없었다. 스타크래프트 뒤에 나왔으면서 그래픽 수준은 스타크래프트 발끝도 쫓아가지 못했고, 버그는 끊임이 없었다. 줄거리는 처참했다. 기껏 열심히 깨 놓고 보니 최종 보스가 이 모든 게 전쟁 게임 속 작은 에피소드라고 말했다. 참으로 무책임한 마무리다. 2001년에 출시했는데 2001년에 멀티 서버가 폐쇄됐다. 

 

킹덤 언더 파이어는 부족했고 임진록2는 너무 빨랐다. 아마겟돈은 조악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스토리가 부족했다. 스타크래프트의 성공은 스토리텔링에 있다. 한국 대 해외, 임요환과 홍진호, 신주영과 이기석 등 수많은 이야깃거리가 있었기에 스타크래프트는 성공했다. 워크래프트3를 비롯해 스타크래프트를 이기기 위해 나온 수많은 게임도 스토리에서 밀렸다. 

 

리그 오브 레전드는 한국과 해외라는 갈등 구도가 리그의 흥행을 이끌었다. 결국 최고의 게임이 되기 위한 충분조건은 게임성이 아니라 풍부한 이야깃거리 아니었을까. 

구현모 알트 기획자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신동주 "배임·횡령 모두 신동빈 책임"…롯데, 다시 '카오스'로?
· 강남3구 추월? 서울 '3대 금싸라기 땅' 용산 청사진 그려보니
· [재벌 본사 건물 해부5·끝] 'IT 공룡'들이 판교·제주로 간 게 세금 때문만은 아니길
· '돼지냐?' 잊을 만하면 터지는 '여혐 마케팅' 논란, 일부러?
· 실적악화 비상 신용카드업계, 2018 경영전략 키워드는?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